Kings of Meta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ings of Metal》은 1988년에 발매된 미국의 헤비 메탈 밴드 마노와의 여섯 번째 정규 음반이다. 이 앨범에는 "Wheels of Fire", "Kings of Metal", "Heart of Steel" 등의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아시아 등 다양한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앨범은 독일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으며, 핀란드, 독일, 스웨덴 앨범 차트에 진입했다. 올뮤직은 이 앨범에 5점 만점에 2.5점을 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음반 - Rattle and Hum
《Rattle and Hum》은 U2의 1987년 조슈아 트리 투어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 사운드트랙이자 라이브 앨범으로, 라이브 공연과 새로운 스튜디오 녹음을 통해 비틀즈, 밥 딜런, B.B. 킹 등 여러 아티스트의 곡을 재해석하며 미국 뿌리 음악에 대한 밴드의 탐구와 음악적 전환점을 보여준다. - 1988년 음반 -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은 더 밤 스쿼드의 혁신적인 프로듀싱, 척 D의 사회 비판적인 가사, 플래버 플래브의 독특한 스타일이 결합되어 힙합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으로,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How the West Was Won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인 How the West Was Won은 1972년 콘서트 실황을 담아 2003년 발매 후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지미 페이지의 편집과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거쳐 2018년 리마스터링 재발매되었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Kings of Meta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종류 | 스튜디오 |
| 예술가 | Manowar |
![]() | |
| 발매일 | 1988년 11월 18일 |
| 녹음 장소 | 시카고, 유니버설 레코딩 |
| 장르 | 헤비 메탈 파워 메탈 |
| 길이 | 47분 57초 |
| 레이블 | Atlantic |
| 프로듀서 | Manowar Jason Flom |
| 이전 음반 | Fighting the World |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1987년 |
| 다음 음반 | The Triumph of Steel |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1992년 |
| 리뷰 점수 | |
| AllMusic | 2.5/5 |
|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 6/10 |
2. 곡 목록
| 번호 | 곡명 | 작사/작곡 | 시간 |
|---|---|---|---|
| 1 | 불의 바퀴 (Wheels of Fire) | 조이 디마이오 | 4:10 |
| 2 | 메탈의 왕 (Kings of Metal) | 로스 프리드먼, 조이 디마이오 | 3:43 |
| 3 | 강철의 심장 (Heart of Steel) | 조이 디마이오 | 5:10 |
| 4 | 말벌의 침 (Sting of the Bumblebee) (인스트루멘탈)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디마이오 편곡, 가사는 밥 피오룬이 옮김) | 2:49 |
| 5 | 왕관과 반지 (왕들의 비가) (The Crown and the Ring (Lament of the Kings)) | 조이 디마이오 | 4:46 |
| 6 | 왕국이여 오라 (Kingdom Come) | 조이 디마이오 | 3:56 |
| 7 | 쾌락의 노예 (Pleasure Slave) | 조이 디마이오 | 5:37 |
| 8 | 만세와 학살 (Hail and Kill) | 로스 프리드먼, 조이 디마이오 | 5:57 |
| 9 | 전사의 기도 (The Warrior's Prayer) | 조이 디마이오 | 4:20 |
| 10 | 왕들의 피 (Blood of the Kings) | 조이 디마이오 | 7:29 |
- 7번 트랙 "쾌락의 노예 (Pleasure Slave)"는 앨범의 미국판에만 수록되었다.
| 번호 | 곡명 | 작사/작곡 | 시간 |
|---|---|---|---|
| 1 | 불의 바퀴 (Wheels of Fire) | 조이 디마이오 | 4:11 |
| 2 | 메탈의 왕 (Kings of Metal) | 조이 디마이오 | 3:43 |
| 3 | 강철의 심장 (Heart of Steel) | 조이 디마이오 | 5:10 |
| 4 | 말벌의 침 (Sting of the Bumblebee) (인스트루멘탈)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조이 디마이오 편곡) | 2:45 |
| 5 | 왕관과 반지 (왕들의 비가) (The Crown and the Ring (Lament of the Kings)) | 조이 디마이오 | 4:53 |
| 6 | 왕국이여 오라 (Kingdom Come) | 조이 디마이오 | 3:55 |
| 7 | 만세와 학살 (Hail and Kill) | 조이 디마이오 | 5:54 |
| 8 | 전사의 기도 (The Warrior's Prayer) | 조이 디마이오 | 4:20 |
| 9 | 왕들의 피 (Blood of the Kings) | 조이 디마이오 | 7:30 |
특별한 언급이 없는 곡은 조이 디마이오 작사/작곡이다. 4번 트랙은 인스트루멘탈이다.
2. 1. 미국, 유럽, 일본판 트랙 목록
| 번호 | 곡명 | 작사/작곡 | 시간 |
|---|---|---|---|
| 1 | Wheels of Fire | 조이 디마이오 | 4:10 |
| 2 | Kings of Metal | 로스 프리드먼, 디마이오 | 3:45 |
| 3 | Heart of Steel | 조이 디마이오 | 5:10 |
| 4 | Sting of the Bumblebee (인스트루멘탈)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디마이오 편곡, 가사는 밥 피오룬이 옮김) | 2:49 |
| 5 | The Crown and the Ring (Lament of the Kings) | 조이 디마이오 | 4:50 |
| 6 | Kingdom Come | 조이 디마이오 | 3:56 |
| 7 | Pleasure Slave | 조이 디마이오 | 5:38 |
| 8 | Hail and Kill | 프리드먼, 디마이오 | 5:58 |
| 9 | The Warrior's Prayer | 조이 디마이오 | 4:20 |
| 10 | Blood of the Kings | 조이 디마이오 | 7:29 |
특별한 언급이 없는 곡은 조이 디마이오 작사/작곡이다. 4번 트랙은 인스트루멘탈이다.
2. 2. 아시아판 트랙 목록
아시아판 ''Kings of Metal'' 앨범에는 "Pleasure Slave"가 수록되지 않았다. 앨범의 트랙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제목 | 시간 |
|---|---|---|
| 1 | "Wheels of Fire" | 4:11 |
| 2 | "Kings of Metal" | 3:43 |
| 3 | "Heart of Steel" | 5:10 |
| 4 | "Sting of the Bumblebee" | 2:45 |
| 5 | "The Crown and the Ring (Lament of the Kings)" | 4:53 |
| 6 | "Kingdom Come" | 3:55 |
| 7 | "Hail and Kill" | 5:54 |
| 8 | "The Warrior's Prayer" | 4:20 |
| 9 | "Blood of the Kings" | 7:30 |
'''마노와'''
특별한 언급이 없는 곡은 조이 디마이오가 작사/작곡했다. 4번 트랙 "Sting of the Bumblebee"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곡을 조이 디마이오가 편곡한 인스트루멘탈이다.
3. 참여 음악가
'''추가 연주자'''
'''제작'''3. 1. 마노와
'''추가 연주자'''
'''제작'''3. 2. 추가 참여
; 추가 연주자
; 제작
4. 제작진
; 추가 연주자
; 제작
- 리처드 브린 – 엔지니어, 믹싱, 신클라비어 프로그래밍
- 엘비스 T. 그루버 – 보조 엔지니어
- 빈스 거트만 – 디지털 프로그래밍, 녹음 및 믹싱 감독
- 하위 와인버그 - 뉴욕 마스터디스크에서 마스터링
- 제이슨 플롬 - 총괄 프로듀서
5. 배경
"스팅 오브 더 범블비"는 러시아 작곡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곡 "왕벌의 비행"을 조이 디마이오의 베이스 연주 중심으로 편곡한 곡이다.[8] LP에는 9곡이 수록되었지만,[9] CD에는 "Pleasure Slave"가 추가되어 10곡이 수록되었다.
앨범 발매 직후, 기타리스트 로스 더 보스/로스 더 보스영어는 밴드를 탈퇴했다.[10] 로스 더 보스는 2009년 인터뷰에서 "실제로는 해고된 것과 같은 거야. 조이 디마이오는 나에게 블루스를 연주하고 싶어서 그만뒀다고 말하게 하려고 했지만, 그건 진실이 아니야"라고 밝혔다.[11] 드러머 스코트 콜럼버스/스코트 콜럼버스영어 또한 1990년에 가정 사정으로 탈퇴했으나,[12] 1996년에 복귀했다.[12]
6. 평가
올뮤직의 빈센트 제프리스는 5점 만점에 2.5점을 부여하며 "일부 팬들은 밴드의 대표작으로 여기지만, 이 1988년 작품은 파워 메탈이라는 장르의 역사를 열성적으로 공부해 온 매니아에게는 다소 발라드가 많다", " 'Wheels of Fire'와 같은 스피드감 있는 곡에서 밴드의 재능이 더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본작에서는 그런 곡이 너무 적다"고 평했다.[8]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의 Martin Popoff는 10점 만점에 6점을 부여했다.[18]
7. 차트 성적
순위
